레이블이 데비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데비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11월 4일

우분투 라이브 바탕화면

하루 하루 포스팅의 의지가 떨어질 즈음,
웹서핑을 하다 우연하게 발견했다.

라이브 바탕화면...

오호~! 좋은 것이로구만.

일단 설치해 보기로 했다.

============================================

1. 저장소 추가.

sudo add-apt-repository ppa:fyrmir/livewallpaper-stable

or

sudo add-apt-repository ppa:fyrmir/livewallpaper-daily

그냥 안정(stable)으로 설치하기를 추천한다.

============================================

2.업데이트 및 필요 패키지 설치

 저장소 추가 후 반드시 반영 해 줘야 한다.

sudo apt-get update

반영이 되었다면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livewallpaper, livewallpaer-config, live-wallpaper-indicator가 필요하다.

sudo apt-get install livewallpaer livewallpaer-config livewallpaper-indicator

============================================

3. 라이브 배경화면 설정

우분투의 경우 대시에서 livewallpaper config가 보일것이다.
현재 루분투를 쓰고 있으므로 위치는 기본 설정 아래 있다.
daily로 설채해서인가 바뀐것인지 몰라도
livewallpaper preferences로 되어 있다.

실행 시키면 바로 반영이 된다.



설치하고 실행해 보니 꽤 괜찮은 것 같다.


2014년 8월 21일

크런치뱅에서 파이어폭스 설치


크런치뱅은 데비안 기반이다.
전에 파이어폭스의 저작권 문제
(파이어폭스 자체는 오픈소스이지만 로고는 저작권이 있다.)
때문에 데비안은 아이스위즐이란
파이어폭스 기반의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딱히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으나 데비안 내부에서의 마찰로 인해 개명)

크런치뱅 또한 데비안 기반이라 아이스 위즐을 사용한다.
그 이외의 웹 브라우저는 설치 할 수 있게 메뉴를 제공한다.
(크로미움은 이해가 가지만 크롬 설치는 좀 의외다.)

하지만 아이스 위즐은 조금 부족한 감이 있어
파이어폭스를 사용하고자 검색해 봤다.
아마도 데비안에도 적용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
1. 일단 아이스위즐을 삭제

sudo apt-get remove iceweasel

아예 설정파일까지 다 날려주고 싶으면 remove 앞이나 뒤에
purge를 넣어주면 된다.

==================================================
2. 저장소 추가

sudo echo -e "\ndeb http://downloads.sourceforge.net/project/ubuntuzilla/mozilla/apt all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 > /dev/null
sudo apt-key adv --recv-keys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C1289A29

솔직히 저장소 추가라는 것은 알겠는데 무슨 명령어인지는 모르겠다;;;
아시는 분 있으면 설명해주시길 바란다...;;;

==================================================
3. 업데이트 및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firefox-mozilla-build

그냥 업데이트 하고 설치한다.

==================================================
4. 오픈박스 메뉴얼에 등록한다.

오픈박스 메뉴는 아래의 위치에 xml파일로 저장되어 있다.

/home/유저이름/.config/openbox/menu.xml

추가
<item label = "Web Browser">
    <action name="Execute">
        <command>firefox</command>
    </action>
</item>

==================================================
5. 단축키 지정

단축키 정보는 아래의 파일에 있다.
/home/유저이름/.config/openbox/rc.xml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keybind key="W-w">
    <action name="Execute">
    <startupnotify>
        <enabled>true</enabled>
        <name>Web Browser</name>
    </startupnotify>
    <command>firefox</command>
    </action>
</keybind>

그리고 재부팅 하면 된다.

크런치뱅 사용중...


넷북을 사용하다 보니 성능상의 한계가 있다.
윈도xp를 사용하자니 이미 서비스 기간은 끝난데다
윈도7은 도저히 쓰기 힘들다.(그 와중에 8은 고려하고 있지도 않다.)

이전엔 루분투를 썼으나
그보다 더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하고 싶어
크런치뱅을 설치했다.

이전엔 우분투를 기반으로 했으나
현재는 데비안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아마도 너무 잦은 업데이트 때문에 바꾼 듯 싶다.

정말 단촐한 화면... 바탕화면조차 없다.
역시 openbox.
내 취향에 딱 맞는 듯 하다. 단촐하고 있을 것만 있는 화면.
(그닥 화려한 화면을 좋아하지 않는다.)

앞으로 이걸 주제로 자주 올릴 듯 하다.
뭐 우분투와 미묘한 차이가 있을것은 분명하지만
사용상에 불편함은 없을 듯 하다.
(팁도 그대로 일듯 하고...)

2014년 7월 21일

리브레오피스 한글 설정

우분투가 아닌 주분투나 루분투를 쓰다보면
리브레 오피스 설치 후 모든 메뉴가 영어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한국사람은 역시 한국어를 쓰는 것이 편하다
아래의 명령어만 치면 자동으로 한국어로 변한다.

sudo apt-get install libreoffice-help-ko libreoffice-l10n-ko

각각 도움말과 메뉴 한글화이다.

2014년 4월 17일

2014년 2월 19일

우분투 13.10 이클립스 메뉴 표시줄에서 메뉴가 뜨지 않을때.

같이 공부하는 동생의 OS 메뉴표시줄에서 메뉴가 뜨지 않는 상태가 발생했다.
아무리 눌러도 체크만 되고 밑으로 메뉴들이 뜨지 않는 상황인데
구글을 뒤져보니 간단히 해결됐다.

이클립스 실행 시

evn UBUNTU_MENUPROXY=0 옵션을 주면 된다.

.desktop 파일이 있을 시

Exec=evn UBUNTU_MENUPROXY=0 "이클립스 경로"

라고 추가해 주면 실행시 메뉴가 전체화면 맨 위에 뜨는 것이 아닌
기존 윈도우 창과 같이 제목 표시줄 밑에 뜨게 된다.

2014년 1월 8일

루분투 해상도 변경

현재 서버로 쓰고 있는 컴퓨터는 아톰이다.
그것도 1세대.
성능? 당연히 말 할것도 없다.
뒤에 달려있는 모니터 단자는 DVI 밖에 없다.
모니터는 크지만 볼 수 있는 해상도는 1024x800 뿐이다.
이것을 어떻게든 늘리기 위해 2틀간 삽질을 해 보았다.
찾아봐도 재부팅 후엔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거나
rc 파일 변경하라는데 하나도 되는게 없었다.
이곳 저곳 기웃거리다 찾아냈다. 역시 구글신!

방법은 이렇다.

------------------------------------------------------------------------------------------------

1.설정값을 찾아내자.
설정값이라는게 맞는지 모르겠다.

gtf 1920 1080 60

그러면 아래의 글이 떠오를 것이다.


# 1920x1080 @ 60.00 Hz (GTF) hsync: 67.08 kHz; pclk: 172.80 MHz
Modeline "1920x1080_60.00" 172.80 1920 2040 2248 2576 1080 1091 1084 1118 -HSync +Vsync

여기서 필요한건 Modeline 이후의 글이다. leafpad나 vim에 잘 복사해 두자.

------------------------------------------------------------------------------------------------

2. 현재 사용하는 모니터 이름을 알아내자.

xrandr

이것을 입력하면 아래와 비슷하게 뜰 것이다.

Screen 0 minimum 320 x 200, current 1024 x 768, maximum 4096 x 4096
VGA1 connected 1024x768+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0mm x 0mm
1024x768        60.00
800x600        60.3
848x480        60.0
640x480        59.9

여기서 필요한건 VGA1이라는 것이다. 현재 연결되 있는 단자 일 것이다.
HDMI 로 연결되 있으면 HDMI-1으로 나타날 것이다. 기억해 두고 있자.
(아님 복사 해 두던가.)

------------------------------------------------------------------------------------------------

3. 10-monitor.conf 만들기 및 변경하기
 
일단 /usr/share/X11/xorg.conf.d 로 이동해 보자
디렉토리 내용을 살펴봐도 10-moitor.conf 파일은 없을거이다.
결론은 만들어야 한다.

만드는 방법은 밑에와 같다.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Modeline (여기에 아까 복사 해 뒀던 gtf의 Modeline 이후를 붙여넣는다.)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0"
        Device "(여기에 기억해 두었던 연결 단자 이름을 넣는다.)"
        Monitor "Monitor0"
        DefaultDepth 24
        SubSection "Display"
                Depth 24
                Modes "1920x1080_60.00"
        EndSubSection
EndSection


내 경우 설정파일은 이렇다.

Section "Monitor"
        Identifier "Monitor0"
        Modeline "1920x1080_60.00" 172.80 1920 2040 2248 2576 1080 1081 1084 1118 -HSync +Vsync
EndSection

Section "Screen"
        Identifier "Screen0"
        Device "VGA1"
        Monitor "Monitor0"
        DefaultDepth 24
        SubSection "Display"
                Depth 24
                Modes "1920x1080_60.00"
        EndSubSection
EndSection

------------------------------------------------------------------------------------------------

이렇게 적고 저장한 뒤 재부팅을 하자. 그러면 원하던 해상도로 보일 것이다.
만약 글자를 잘못 입력했다면 아무것도 안나올텐데 이때엔
Ctrl + Alt + F1 키를 눌러 터미널 화면으로 넘어간 뒤 다시 자알 입력해 보자.

2013년 11월 28일

2013년 11월 26일

virtualbox를 이용한 우분투 설치

본인은 자유 소프트웨어를 굉장히 좋아한다.
윈도우 빼곤(솔직히 이것도 사야하지만 가격이 후덜덜하다...)
자유 소프트웨어이다. 돈 주고 사야할 건 사야한다는 주의기 때문에
(윈도우는 좀 봐주시길.. 조만간 홈 에디션 살거니깐ㅜㅜ)
대체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은 대체해서 사용한다.
(딱히 그 프로그램을 쓰는데 전문가가 아니라서 그렇다.)
근데 virtualbox도 자유소프트웨어 맞겠지?

여하튼 시작~

일단 먼저 만들어 놓고 시작...

2013년 11월 25일

우분투 12.04 최소설치... 맞나?

일단 지금 gui 올리는 중이다.

잊지 않게 써놔야지.

------------------------------------------------------------------

1) 우분투 서버 버전을 받는다.
다른 패키지는 최소 설치가 없는 듯 하다.
(얼터너티브는 설치 안해봐서 모르겠다.)
얼터너티브 또한 최소설치를 지원하지 않는다.
gui 설치가 아닐 뿐이지.
데스크탑의 경우 바로 gui 설치로 넘어간다.
일말의 선택지도 없다.
얌전히 서버 받자.

------------------------------------------------------------------

2) usb든 cd든 부팅할 수 있는 걸 만들자.
usb로 만들었다. 사이트에 보면 친절하게 usb로 구울 수 있게 설명해 준다.
간단한 영어로 되 있으니 잘 보며 사용해 보자.

------------------------------------------------------------------

3) 바이오스 설정에서 변경
바이오스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바꿔준다.
내 경우 usb로 만들었기 때문에 첫번째 부팅 순서를 usb로 두었다.
그리고 재시작하면 자동으로 설치 화면으로 넘어간다.

------------------------------------------------------------------

4) 설치 모드 변경
처음 시작 시 한국어로 설정해도 상관 없다.
그 후에 F4를 눌러 최소 설치를 선택해 준다.
이거 선택 안해주면 얄짤 전체설치(업데이트 포함)다.
그리고 엔터.
자동으로 설치 화면으로 넘어간다.

------------------------------------------------------------------

5) 설치
적당적당히 선택해 주자.
한번쯤 우분투를 설치해 봤다면 대충 무슨 말일지는 알것이다.
참고로 선택언어는 한글로 하자. 나중에 바꾸려면 귀찮아질 것이다.
다 끝나면 자동으로 재부팅한다.

------------------------------------------------------------------

6) 부팅 후 처음 해야 할 것
재부팅 후에 여러분들을 반겨주는 건 깊숙한 우주와도 같은 새까만 검은색 화면과
아름답게 펼쳐진 하얀 글자밖에 안보일 것이다.(아... 아름답다.)

데비안 계열 리눅스 설치시 제일 처음 할 것은 이 두가지이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dist-upgrade

필수다.
너무 자주 쓴다.
잊어버릴 염려도 없다;;
일단 처음엔 업데이트와 업그레이드 해 주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

6) gui를 얹자.

가벼우면서도 보기에도 껄끄럽지 않은 x윈도는 역시 LXDE다.
너로 선택했다!
하지만 그냥 설치 하면 더불어 설치 될 것들이 많다.
(음악 재생기나 동영상 재생기 등등 다 깔린다. 용량도 더불어 상승.)
찾아보니 필수적인 패키지만 설치하는 명령어가 있드랬다.

sudo apt-get install --no-install-recommends lxde

설치 용량 20M정도에 설치 후 75M가량 더 차지한다.
지금까지 설치 된 용량만 따지면 한 1기가 조금 안되는 것 같다.
(지금 한창 설치중이니 추후 살펴봐야겠다.)

하지만 여기서 삽질이 들어갔다.
필수 유틸만 설치해 x윈도 패키지가 전혀 설치되질 않는다.
고로 xserver나 xorg 패키지를 설치해 줘야 한다.

sudo apt-get install --no-install-recommends xorg lxde

근데 gdm도 설치를 해 줘야 하나?(추후 하고 올려야겠다.)
gdm은 필요없는듯 하다. 따로 lxdm이 있다고 한다.
결론은 이렇게 설치해도 잘 돌아간다. 따로 필요할 때 설치하자.
(일단은 최소설치가 목표니깐 동영상나 그림따윈 쿨하게 넘아가는거다.)
상콤한 로그인 화면을 위해 그냥 설치하자.
일일히 startx 누르기 귀찮다.(그렇다고 자동실행도 귀찮다.)

sudo apt-get install lxdm


무슨 이유에서인지 lxdm 설치 후에 startx는 먹히지만
로그인 화면에서는 넘어가지 않는다...
이유를 알 때 까지 보류해 둬야 겠다.
맘 편하게 최소 설치가 아닌 그냥 설치하는게 좋을 듯 싶다.
간만에 삽질로 피곤하다.
후에 추가해야겠다.

------------------------------------------------------------------

7) 한글로 만들자

한글 표기를 위해 폰트 설치 한다.


sudo apt-get install ttf-unfonts-core


umi나 ibus 중 하나를 선택해 보자.
공통 설치 패키지 : ttf-nanum ttf-nanum-coding(이거 가독성 죽이는듯!) im-switch
umi 설치시 : umi umi-hangul
ibus 설치시 : ibus ibus-hangul
앞에 sudo apt-get 을 붙이는 건 당연하다.
다 설치되면 재부팅하거나 startx눌러 x윈도를 실행시킨다.
(일단은 여기까지)

------------------------------------------------------------------

현재 서버컴 운영체제 재 설치 중...

루분투도 느리다...
서버용 컴 사양이 아톰 230...
쓰잘데기 없는 거 설치할 바에 최소 설치로 하고
그 위에 x윈도 얹는게 나을 것 같다.
그래서 지금 열심히 설치중...
설치 후에 포스트 올려야겠다.
그나저나 이렇게 하면 속도 좀 나오겠지?
정 안돼면 커널부터 삽질해주마!

2013년 8월 14일

vmware를 이용한 우분투 설치

보통 방 안에 컴퓨터를 2대 놓고 쓰시는 분은 없을 겁니다.(아주 없는건 아니고요.)
가상 컴퓨터는 소프트웨어로 하드웨어를 구현한 것입니다. 타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사용하는데 현재 쓰고 있는 갈아 엎어야 하는 리스크를 줄여줍니다.

그중 vmware를 사용하여 우분투를 설치해보겠습니다.

------------------------------------------------------------------

1) 다운받고 설치하기


일단 vmware를 다운받기 위해 검색을 해봅시다.
vmware player는 프리웨어입니다. vmware workstaition부턴 구입해야 하기에
player로 설치하겠습니다.



vmware 사이트는 친절하게도 한글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사용자가 많아서일까요?
이곳에서  제품란의 3번째 줄에 있는
모든 데스크톱 및 최종사용자 컴퓨팅
을 선택합니다.




오를 쪽을 보시면 vmware player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사뿐히 눌러주시면



다운로드 화면이 나옵니다.
다운로드를 눌러주세요.




 현재 윈도우를 쓰고 있으므로
VMware Player for Windows 32-bit and 64-bit 옆의 다운로드
누르시면 내려받기가 실행됩니다.

설문 창이 뜨지만 무시하시고 종료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용량은 얼마 안되므로 몇 분 정도 걸릴겁니다.

내려받기가 완료되면 내려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설치는 Next 연타로 끝! 별거 없습니다.
설치가 끝나면 VMware Player를 실행해 봅시다.

------------------------------------------------------------------
2) vmware player 실행 및 설치 그리고 설정


뭔가 휑~ 한 화면이 나왔습니다.
이제부터 가상 컴퓨터를 만들고 이 안에 우분투를 설치해 봅시다.

우선 오른편에 보이는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선택합니다.




새 가상 머신 위자드입니다.
우선 설치할 운영체제의 디스크를 설정해 줍니다.
Install disc는 시디 롬에서 읽어들여 설치하므로 CD롬 혹은 가상 CD가 있어야 합니다.
Installer disc imagefile(iso)는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여 설치합니다.
마지막 선택은 모든 설정을 마치고 나중에 설치합니다.
귀찮으므로 두번째 선택지로 하겠습니다.
Browse... 를 누르시면



이렇게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미리 받아놓은 ubuntu12.04.2를 선택해 설치하겠습니다.

확인을 눌러주시고 Next를 누르시면



이렇게 이름과 유저네임 패스워드를 적는 창이 뜹니다.
참고로 우분투 설치시 중간작업을 그냥 건너뛸 수 있게 해 주는
것으로 다 적고 넥스트를 누릅니다.



이 창은 가상 머신의 설치 위치를 정해주는 창입니다.
장치의 설정 및 가상 하드 디스크의 위치이며
용량이 많이 남은 하드디스크로 설정해 주세요.



가상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설정해 주는 창입니다.
딱히 시험 설치이므로 8기가만 잡았습니다
아래의 선택지는 파일 하나로 가상하드를 생성할지 여러개의 파일로 가상하드를 생성할지 선택하는 겁니다.
그냥 하드 용량만 설정하고 다음으로 넘깁니다.



여기까지 하면 완성이지만 좀더 자세한 설정을 위해
Customize Hardware...를 눌러주세요.



Customize Hardware...를 누르시면 가상 머신의 설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칸은 램 설정입니다.
제 컴퓨터는 12G 정도의 램이 있으므로 넉넉하게 4G로 잡았습니다.
컴퓨터에 맞게 적절히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CPU 설정입니다.
맨 위는 CPU 코어의 갯수 설정입니다. 이것 역시 컴퓨터에 맞게 적절히 선택해 주시면
되고 아래 것은 딱히 설정할 필요 없겠네요.(딱히 저 안에서 게임 할 생각 아니면요.)



다음은 네트워크 설정입니다. 이것도 딱히 문제 없으면 NAT로 선택하고
쓰시면 됩니다. 문제가 생기면 이것저것 만져야 하지만요.




각각 usb 설정과 모니터 설정입니다. usb는 그대로 두시고 모니터의 경우도 딱히 기본값을 사용하면 되겠네요. 참고로 3D 안쓰시려면 꺼도 상관 없습니다.



 모든 설정이 끝나면 close를 누르시고 finish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자동으로 가상머신이 부팅되면서 우분투 설치가 시작됩니다.
중간에 두개의 창이 뜨는데 별것 아니므로 시크하게 닫아줍니다.

여기까지가 간단한 설치였습니다.
설치 시 업데이트와 함께 설치하므로 대략 2시간이라는
개념없는 시간이 걸립니다.
따뜻한 커피한잔이라도 하면서 완료되길 기다리시길 바랍니다.

2013년 5월 23일

우분투 대시에 프로그램 등록하기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설치하지 않는 프로그램의 경우 대시에 생기지 않아
바탕화면에만 등록하고 사용했다.
조금 불편한 기분이 들어서 찾아보니
바로 툭 튀어나왔다.
역시 사용자가 많아서 그런건가?
암튼 잊어버리지 않도록 적어둔다.
등록 프로그램은 eclipse이다.

------------------------------------------------------------------

1) /usr/share/applications 디렉터리로 들어간다.

------------------------------------------------------------------

2) (만드려는 프로그램 이름).desktop 을 만든다.
ex) sudo vim eclipse.desktop

------------------------------------------------------------------

3)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은 양식으로 적는다.
(앞의 숫자는 적을 필요 없다. #은 주석표시이다.)

  1 [Desktop Entry]
  2 Encoding=UTF-8        #사용 언어 셋
  3 Name=eclipse            # 등록할 프로그램 이름
  4 Comment=eclipse for jdk    #프로그램 설명. 안적어도 딱히 상관은 없을듯
  5 Exec="/home/conic/.eclipse/eclipse"
#프로그램의 절대경로. 참고로 숨김폴더로 만들어 폴더 앞에 .이 붙었다
  6 Icon=/home/conic/.eclipse/icon.xpm
#아이콘 파일의 절대경로. 쌍따옴표 붙이지 않기
  7 Terminal=false        # 터미널 실행 여부. 당연 false
  8 Type=Application    # 프로그램의 타입. 응용프로그램이다...
  9 Categories=GNOME:Application;Development;
# 프로그램의 분류. 그냥 Development라고 써도 된다.
 10 StartupNotify=true    #시작 시 알림. ture . 참고로 안써도 되는것 같다.

자주 써먹어야겠다.(뭐 우분투에서밖에 써먹질 못하겠지만...)

2013년 3월 18일

우분투 AMP(Apache, Mysql, PHP) 설치

이것도 일일히 찾기 귀찮아 올린다.

우선 준비물은 우분투(혹은 데비안 계열 배포판)

------------------------------------------------------------------

1. 아파치 설치

sudo apt-get installl apache2

이걸로 일단 아파치 2가 설치된다.
설치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브라우저 주소에

http://localhost 를 입력한다.

it's work! 라고 뜨면 성공.

------------------------------------------------------------------

2. php5 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5 libapache2-mod-php5

2개의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php5와 아파치-php5를 연동하기 위한 패키지이다.

설치가 잘 됐는지 확인하려면
/var/www 내부에 <아무 이름>.php 파일을 만들고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

<?
php phpinfo();
?>

를 입력하고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localhost/index.php를 입력한다.

php5에 대한 정보가 창에 뜨면 성공.

------------------------------------------------------------------

3. Mysql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php5-mysql

서버용 mysql 패키지이다. 이걸 설치할 시 클라이언트도 함께 깔리나?
(추후 mysql-client로 설치 해보니 설치된다. 함께 설치되진 않는것 같다. 공부용으로 일단 설치.)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각자 입력해 줘야한다. 그리고 php5와 mysql 연동을 위한
패키지도 같이 써준다.(추후 phpmyadmin을 위해 필요한 듯 하다.)

일단 이걸 입력해 주면 mysql 설치와 중간에 root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것이 나온다.

입력해주고 오케이


일단 여기까지만으로도 충분히 AMP 설치는 끝이다.
필요하다면 phpmyadmin 설치하면 되지만 딱히 필요는 없을 것 같아
(솔직히 그것까지 쓰긴 귀찮다.)
생략한다.